안녕하세요, 오늘은 치아 뿌리 충치 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고 있어요. 치근단염이라고도 불리는 이 증상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서 치수에 생긴 염증이 점점 진행하여 압박감이 심해지다가 치아 뿌리 쪽으로 나 있는 조그만 구멍으로 번지게 되어 잇몸뼈에 손상을 주고 주변 잇몸이 동그랗게 부어올라 고름이 차는 등 문제를 일으키는 것인데, 특히나 이러한 치아 뿌리 충치 와 관련해서 주의해야 할 점은 바로 통증과 관련된 부분일 거예요.


즉, 만약에 치아 뿌리 충치 가 의심되는 상황 (잇몸이 부어오르고 구취가 심해지는 등) 이라고 했을 때 치수염일 때와 다르게 통증이 좀 줄어들었다고 생각이 드실 수도 있는데 그렇다고 해서 병증의 진행이 더이상 일어나지 않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잇몸뼈에 지속적으로 손상을 주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실 필요가 있어요.


보통 통증과 질환의 진행은 비례하는 것이 맞지만 이 경우에는 딱딱한 치아의 겉면에 둘러쌓여서 압박감을 세게 느껴 통증이 심했던 치수염의 단계에서 치근단공 (치아 뿌리의 끝에 있는 작은 구멍) 으로 세균, 고름, 염증 등이 빠져나가면서 치아 뿌리 충치 단계가 되는 것으로 오히려 약간 압박이 해소되어 통증이 많이 줄어드는 듯 느껴질 수 있지만 병증은 계속 진행되고 더 악화되고 있는 것이니 만큼 주의해서 치료 시기를 놓치지 말고 제 때 필요한 처치를 받아주실 필요가 있어요.


치아 뿌리 쪽으로 둥그렇게 잇몸이 부어오르고 누르면 악취와 고름이 나오게 되면 치아 뿌리 충치 로 인해 잇몸 쪽에 고름주머니가 생기게 된 것이며 말씀드린 것처럼 잇몸뼈를 녹이고 치아를 밀어올려 흔들리게 만들거나 또는 심각한 경우 발치 상황으로 이어지게끔 할 수 있으나 통증과는 상관없이 진행이 될 수도 있으니 혹시라도 아침에 거울을 보다가 평상시의 건강한 잇몸 상태와 다른 모습을 발견하셨다면 되도록 빨리 치과 치료를 받으시길 바라고 있는데요.

이렇게 치아 뿌리 쪽으로 손상이 깊어지게 되면 해당 치아를 살리는 것이 굉장히 어려워질 수 있고 잇몸뼈 손상이 심해 치아 상실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치수염 단계에서 변성된 신경을 제거하고 크라운으로 덮어 씌워 보호해 주는 처치를 늦지 않게 해 주는 것이 남아 있는 치아를 살릴 수 있는 거의 마지막 단계의 보존 치료라고 볼 수 있어요.


잇몸 쪽으로 고름주머니가 둥그렇게 올라오는 것에는 지금까지 살펴본 치근단염 외에도 잇몸 질환이 원인이 된 경우도 있는데 환자분들의 입장에서는 원인이 둘 중 어떤 것인지 정확하게 아는 것이 어려우니 치과로 내원하셔서 꼼꼼한 검진 후에 원인에 맞는 처방을 제 때 받아주시면 좋을 거예요. 물론 치통과 상관없이 평상시에 치과에 들리셔서 검진과 스케일링 받는 것을 습관화 하신다면 더욱 바람직한 습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